K-Cloud College란?
-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전공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 설립한 가상의 단과 대학
- 공중보건학전공과 연관된 융합교육: 의료경영전공, 웰빙바이오전공
- K-Cloud College 안내 링크: http://inv.kmu.ac.kr/inv/43166/subview.do
- K-Cloud 융합교육인증: K-Cloud 융합교육 모듈 및 비교과 활동, 적용 학습을 체계화하여 이수자에게 학습 인증서를 발급해주고 소정의 장학금(80만원)을 수여하는 제도
- 공중보건학전공과 연관된 인증 모델명: 웰빙건강바이오 모듈, 웰빙식품바이오 모듈
- K-Cloud 융합교육인증 안내 링크: https://inv.kmu.ac.kr/inv/56534/subview.do
의료경영전공
우리대학 공중보건학전공과 경영학과 및 경영대학원의 의료경영전공이 연계하여 보건의료서비스기관의 관리 및 경영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개설된 전공과정입니다.
의료경영이란?
-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평균 수명 증가에 따른 인구의 노령화 등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건의료서비스 산업은 21세기를 이끌어 나아갈 선도산업 분야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
- 보건의료서비스 산업은 병원, 의원, 장기요양시설, 보건소, 제약사, Bio-tech벤쳐기업, 의료장비관련 기업, 건강보험관련 정부기관 및 일반 보험 회사를 포함합니다. 이러한 기관들은 보건의료서비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직무의 전문성을 지닌 인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
- 의료경영 연계전공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의료경영전공의 특징
의료경영 연계전공은 학생들의 실무경험과 향후 취업기회확대 및 전공이수의 편의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도를 운영할 계획입니다.
- 산학협동체제: 동산의료원을 비롯한 보건의료서비스 기관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전공운영과 실무지도를 위한 제도 운영
- 의료기관 preceptor 제도: 각 보건의료서비스기관 중견실무자를 학생들의 실습지도 및 취업지도에 활용
- 인턴쉽 제도: 재학기간 중 일정기간 의료경영 현장실습기회부여
의료경영전공의 교육 목표
건강의 추구는 인간의 기본권이라는 인식하에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국민건강을 극대화 시킨다는 사명감으로 보건, 의료, 복지기관 경영에 창의성, 전문성, 윤리성을 가지고 접근하는 인력을 양성한다.
- 경영학, 보건학, 사회학, 의학 및 의료정보학 등 다학제적 학문적 지식기반을 의료경영에 접목시켜 새로운 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가진 인력을 양성한다.
- 보건, 의료, 복지기관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이에 관한 문제점 정립과 대체방안 수립을 과학적으로 모색하는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양성한다.
- 건강과 생명을 다루는 보건, 의료, 복지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간애와 사회정의를 구현하는 윤리성을 가진 인력을 양성한다.
의료경영전공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
의료경영전공 참여전공 및 문의
- 참여전공: 경영학전공, 공중보건학전공, 의료경영전공(경영대학원)
- 의료경영연계전공 책임교수 : 김배환 교수
- 경영학과 학과장 : 김대원 교수
웰빙바이오전공
첨단기술과 산업의 융합화시대에 웰빙바이오분야에서 전문성과 실무적 지식을 습득하여 미래 유망산업인 웰빙식품 및 바이오 신소재 등 웰빙바이오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웰빙바이오소재, 가공원리 및 품질관리 분야에 따른 이론, 현장실습, 고가장비 활용 및 캡스톤디자인 실무능력을 갖춘 인력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인터넷활용 및 경영정보관련 이론 및 실무교육을 통하여 취업 및 창업의 극대화가 필요하고 급변하는 정보화 및 융합화사회를 이끌어 갈 웰빙바이오산업의 실무 전문 인력이 필요합니다.
생물 및 화학 지식 기반의 바이오 및 식품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고부가가치 웰빙바이오소재(식품, 화장품, 의약품) 분야에서의 신제품 개발 및 분석, 생산관리, 품질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인력 및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
연계전동 이수자는 생물, 화장품 및 식품산업, 관련 연구소 등 지역 바이오산업체에 취업할 수 있으며, 웰빙식품 및 바이오신소재 등 웰빙바이오분야의 창업도 가능하다. 관련 분야의 계속적인 연구를 위하여 대학원 과정에 진학할 수도 있습니다.
생물 및 화학 지식 기반의 바이오 및 식품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고부가가치 웰빙바이오소재(식품, 화장품, 의약품) 분야에서의 신제품 개발 및 분석, 생산관리, 품질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인력 및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
연계전동 이수자는 생물, 화장품 및 식품산업, 관련 연구소 등 지역 바이오산업체에 취업할 수 있으며, 웰빙식품 및 바이오신소재 등 웰빙바이오분야의 창업도 가능하다. 관련 분야의 계속적인 연구를 위하여 대학원 과정에 진학할 수도 있습니다.
웰빙바이오전공의 교육목표
- 1 단계: 생물 및 화학 지식 기반의 바이오 및 식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웰빙바이오 분야에서의 신제품 개발 및 분석, 생산관리, 품질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인력 양성
- 2 단계: 고부가가치 웰빙바이오(건강기능식품, 화장품, 의약품분야)에서의 신제품 개발‧분석, 생산관리, 품질관리 등의 실무 수행
웰빙바이오전공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
웰빙바이오전공 참여전공 및 문의
- 참여전공: 식품가공학전공, 생명과학전공, 공중보건학전공, 화학전공
- 문의: 식품가공학전공 이삼빈 교수